2030 청년층 건강 위협하는 5가지 질환은?

입력
2022.12.02 11:54
구독

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ㆍ빈혈ㆍ우울증ㆍ피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취업과 학업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잦은 음주 등으로 젊은이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특히 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ㆍ빈혈ㆍ우울증ㆍ피로 등 5개 질환은 20~30대부터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건강 문제다.

젊음을 핑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만성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5가지 건강 문제를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알아봤다.

◇고혈압, 건강한 생활 습관 가져야

혈압을 재면 수축기(최고) 혈압과 이완기(최저) 혈압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Hg, 이완기 혈압이 80㎜Hg 미만이다. 수축기 140㎜Hg, 이완기 90㎜Hg을 넘으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정상 혈압과 고혈압 사이에 있으면 ‘경계 혈압’이라고 부른다.

국내 250만 명의 20~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수축기, 이완기 혈압이 각각 130㎜Hg, 80㎜Hg 이상이라면 심장병과 뇌졸중 위험이 20% 정도 증가했다. 이 위험은 혈압이 높아질수록 심하게 증가했다. 다만 고혈압 약을 복용하며 혈압 수치를 잘 조절했으면 위험도가 정상 인구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혹 고혈압 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는 것으로 걱정하는 젊은이가 많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압을 정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에 약을 복용하거나 생활 습관 개선 등으로 어떻게 하든지 정상 혈압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물 먹지 않기, 적정 체중 유지, 운동, 절주 및 금연 등 적절한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정상 혈압을 유지에 도움이 된다. 종종 고혈압 약 복용을 중단한 후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것만으로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 환자들도 있다.

◇이상지질혈증, 20대 중반부터 4년에 한 번 검사하기

이상지질혈증은 혈액검사에서 확인되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4가지 수치 중 하나라도 이상 소견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국내 250만 명의 20~30대 청년층을 연구한 결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240㎎/dL 이상이라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위험도도 정상 수준으로 낮아졌다. 즉 20~30대도 이상지질혈증 소견이 있으면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이상지질혈증 발생 빈도가 높고, 심혈관 질환이나 뇌졸중 발생 위험도 높다.

따라서 남성은 20대 중반부터 4년에 한 번씩 이상지질혈증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여성은 40세 이상부터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이상지질혈증 검사가 포함된다.

◇빈혈, 증상 있을 때 철분제 복용 필수

빈혈은 혈액검사로 얻어지는 헤모글로빈 수치로 확인한다. 여성은 12g/dL, 남성은 13g/dL 미만일 때 빈혈로 진단한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잘 나타나며, 20~30대 여성 10명 중 1명에게 빈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성 빈혈은 철 결핍성 빈혈이 가장 흔하다. 이 경우 철분제 복용만으로 쉽게 치료된다. 일반적으로 철분제를 2~3개월 복용하면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빈혈은 피로감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장기간 지속되면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졌다. 이에 빈혈을 발견하면 철분제를 빠르게 복용해 정상 헤모글로빈 수치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이어도 취업에 걱정 없다

일반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정도의 우울·슬픔·절망이 지속되는 경우 우울증을 의심한다. 이는 혼자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더욱 힘들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으면 의료진과 상담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동시에 돌봐야 한다.

2020년 8월부터는 국가건강검진에 우울증 선별 검사가 도입되면서 조기 발견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많은 환자가 취업에 불이익이 있을지 걱정하면서 병원에 내원한다. 하지만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의료법상 정신건강 관련 진료 기록은 본인의 동의 없이 열람이나 회람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성 피로,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

최근 10년 새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청년이 부쩍 많아졌다. 이로 인해 병원에 내원하게 되면 먼저 혈액검사를 통해 △빈혈 △간 기능 저하 △내분비 문제 △갑상선 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한다.

간혹 잠복 결핵 같은 감염이 의심되면 흉부 X선 검사를 실시해 확인한다. 대부분이 혈액검사나 흉부 X선 촬영에서 정상 소견이 나오는데, 이 경우 수면이나 정서의 문제를 검토한다. 모든 것이 정상인 경우 ‘체력 저하’가 주원인이다.

청년들은 종종 체력에 비해 과도한 일이나 스트레스를 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커피를 복용하면서까지 체력을 쥐어짜면서 맡은 일을 감당하려 한다. 이 경우 자율신경 기능이 저하돼 기능성 위장장애나 어지러움, 손발 저림, 만성 피로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만성 피로에 약은 없다. 우선 순위를 재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력 한계를 인정한 후, 정말 중요한 일 4가지를 위해 잠시 위임·포기할 8가지 일을 선택하는 식으로 우선 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이렇게 일과 스트레스를 자신의 체력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춘 다음 운동을 통해 서서히 체력을 회복해야 한다. 보통 3~6개월 정도 운동하면 체력을 높이고 자율신경계를 회복할 수 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