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 철도물류 초석...한국철도공사 '2배 길이 화물열차' 성공 [중원 르네상스-변방에서 중심으로]

입력
2022.09.05 18:00
수정
2022.09.05 19:22
구독

777m 장대화물열차 오봉~부산신항 안전 수송
내년 상반기 정기운행 목표로 보완점 개선 중
수송력 52% 증가...만성적자 획기적 개선 기대
나희승 사장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접목할 것"

편집자주

9월 6일 16면 발행하는 대전 지역본부 특집 기획물입니다.

지난 7월 19일 코레일이 시험운행한 장대화물열차가 경남 일양 삼랑진 미전천 교량을 달리고 있다. 길이가 KTX의 두 배인 777m에 달하는 장대화물열차는 이날 경부선 경기 의왕 오봉역~부산신항역(402.3km) 시험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코레일 제공

지난 7월 19일 코레일이 시험운행한 장대화물열차가 경남 일양 삼랑진 미전천 교량을 달리고 있다. 길이가 KTX의 두 배인 777m에 달하는 장대화물열차는 이날 경부선 경기 의왕 오봉역~부산신항역(402.3km) 시험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코레일 제공

한국철도공사는(코레일) KTX 두 배 길이에 달하는 장대화물열차의 경부선 시험운행에 성공하며 지속가능한 철도 물류의 초석을 다졌다.

코레일에 따르면 50칸(777m)에 이르는 장대화물열차가 지난 7월 19일 경부선 본선인 경기 의왕 오봉~부산신항(402.3㎞) 구간까지 영업 시험운행(시속 90㎞)에 성공했다.

KTX-1(20칸·388m)의 두배에 달하는 장대화물열차는 이날 오전 5시 4분 오봉역에서 출발해 김천역을 거쳐 5시간 53분 만인 오전 10시 57분 부산신항역에 도착했다. 일반 여객열차 등 여러 영업열차가 운행하는 경부선 선로에서 50칸의 화물열차가 실제와 같은 방식으로 영업운행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시험운행에선 컨테이너 화차 50칸을 전기기관차 2대가 앞에서 끌었다. 컨테이너에는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고부가가치 수출용 화물을 실어 실제 영업운행과 같은 조건을 만들어 진행됐다.

코레일은 앞서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부산신항~진례역 구간(21.3㎞), 부산신항~가천역 구간(98.1㎞) 시험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코레일은 내년 상반기 장대화물열차 정기 운행을 목표로, 시험운행에서 나온 보완점 등을 개선할 계획이다.

나희승(오른쪽) 코레일 사장이 지난 7월 19일 777m 길이의 50칸 장대화물열차의 기관차에 직접 승차해 시험운행과정을 점검하고 있다. 코레일 제공

나희승(오른쪽) 코레일 사장이 지난 7월 19일 777m 길이의 50칸 장대화물열차의 기관차에 직접 승차해 시험운행과정을 점검하고 있다. 코레일 제공

장대화물열차 시험운행은 코레일이 열악한 경영상태 해결을 위한 자구책 중 하나로 시행한 것이다. 코레일의 연간 적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1,500억 원 수준이다. 이는 철도 물류사업에서만 도로 위주의 수송, 인프라 투자 부족 등으로 연간 2,000억 원 이상의 영업적자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매출감소까지 더해져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김범열 코레일 물류계획처장은 "만성 적자 구조 타개를 위해 한 번에 최소 64칸 이상 수송이 필요한데, 1단계로 50칸을 싣고 시험운행을 추진한 것"이라며 "실제 상업운행을 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장대화물열차를 도입하면 철도의 '대량수송'과 효율성 등 장점을 최대한 살려 물류 수익의 획기적인 개선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운행하는 컨테이너 화물열차는 평균 33칸으로, 수송능력이 20피트 기준 66TEU다. 50칸인 장대화물열차를 도입하면 이보다 수송능력이 52%(20피트 100TEU)나 향상된다. 또 장대화물열차는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서, 친환경 탄소 중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레일은 다만 50칸 장대화물열차 운행을 위해선 900m 이상 대피선이 운행선상에 필요함에 따라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를 하고 있다.

나희승 코레일 사장은 "새로운 철도물류사업으로 코로나19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가능한 수익모델을 창출해 재무건전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화물관리시스템 등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물류체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