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본부장에 2.5억원 대통령 연봉 파격 제시... 사천에 '우주인재' 모일까

입력
2024.03.14 17:20
수정
2024.03.14 18:20
19면
구독

5월 개청 우주항공청 채용 절차 개시
공직 근무에 높은 연봉은 매력이지만
최장 10년 '계약직' 신분에 사천 정주
"젊은 구직자들에겐 한계 느껴질 듯"

14일 경남 사천시청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채용설명회에서 구직자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을 듣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14일 경남 사천시청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채용설명회에서 구직자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을 듣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오는 5월 개청을 앞둔 우주항공청 채용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고급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1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임무본부장에게 대통령 연봉 수준인 2억5,000만 원의 파격적인 보수를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14일 우주항공 분야 전문가를 임기제공무원으로 채용하는 공고를 게시하고, 경남 사천시청에서 채용설명회를 열었다. 정부는 이번 경력경쟁채용을 통해 선임연구원(5급), 연구원(6, 7급) 등 50명의 임기제공무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사천시를 시작으로 19일 서울, 22일 대전에서 채용설명회를 연다. 5~7급보다 높은 1~4급 임기제공무원은 우주항공청 실무를 이끌어 갈 전문가들로, 수요조사를 통해 상시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5월 27일 개청과 동시에 5~7급 임기제공무원 50명, 산업통상자원부와 과기정통부 출신 일반공무원 55명을 포함해 120명 규모의 인원이 업무에 착수하는 것이 현재 목표다.

우주항공청 직제. 그래픽=송정근 기자

우주항공청 직제. 그래픽=송정근 기자

정부는 우주항공청에 민간 또는 학계 전문가를 대거 영입하기 위해 일반공무원의 보수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연봉을 책정했다. 우선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과학탐사 △항공혁신 4개 부문의 연구개발(R&D)과 정책 수립 등을 담당하며 실질적인 '항해사' 역할을 할 임무본부장은 2억5,000만 원의 연봉을 최소한 보장받게 된다. 4명의 부문장 연봉도 차관급에 해당하는 1억4,000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재형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대통령급, 차관급 연봉은 일종의 기준점이고, 직무의 난이도나 전 직장 연봉 수준 등을 고려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보수 기준의 상한을 뛰어넘어 그 이상도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임기제공무원과 일반공무원을 통틀어 대통령 수준의 연봉이 보장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우주항공청 보수 기준. 그래픽=송정근 기자

우주항공청 보수 기준. 그래픽=송정근 기자

다만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이 아닌 '계약직' 신분이라는 점이 구직자들에겐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1~4급 임기제공무원은 기본 3년 근로계약 후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하고, 5~7급은 기본 5년 계약 후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연장 계약 기간이 끝나면 재계약도 가능하다. 정부는 보다 유연한 인력 운용과 높은 보수 수준 제공을 위해 전문가들은 임기제공무원으로 채용한다는 방침이나, 구직자들 사이에선 안정적 채용을 선호하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이날 채용설명회에 참석한 한 박사 출신 구직자는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을 채용할 계획은 없느냐"고 질문했다. 이 단장은 "임기제공무원 채용과 별도로 민간경력공채에 지원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남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헬기동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식에서 출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남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헬기동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식에서 출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우주항공 분야 인력들이 사천시 인근으로 이주해야 한다는 점도 높은 장벽이다. 이주비나 정착자금 등 경제적인 정주 여건 지원 방안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 우주항공업계 관계자는 "높은 보수 수준이나 지역에서 고위공직자로 근무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매력적일 것"이라면서도 "다만 민간 대기업 연봉과 비교해선 여전히 월등히 높다고 보기 어렵고, 젊은 구직자들에게는 계약직 신분으로 지역에서 근무해야 한다는 점이 한계로 느껴질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