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행복 순위 143개국 중 52위… 핀란드 7년째 1위

입력
2024.03.20 16:00
10면
구독

북유럽 국가 상위권 독차지
아프가니스탄 올해도 최하위
한국 행복도 3년째 상승 중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발표한 연례 ‘세계행복보고서’(WHR) 표지와 속지. 보고서 캡처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발표한 연례 ‘세계행복보고서’(WHR) 표지와 속지. 보고서 캡처

세계 각국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해 매긴 행복 점수 순위에서 한국이 143개국 중 52위를 기록했다. 핀란드가 7년 연속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에 올랐고, 아프가니스탄은 지난해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이 같은 내용의 ‘세계행복보고서’(WHR)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작성하며, 최근 3년치 데이터를 반영해 점수와 순위를 산출한다. 올해 보고서는 2021∼2023년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올해 한국의 행복 점수는 6.058점(52위)이었다. 2022년엔 57위(5.935점), 2021년엔 62위(5.845점)로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에서 한국보다 점수가 낮은 나라는 포르투갈(55위) 그리스(64위) 콜롬비아(78위) 튀르키예(98위) 등 네 곳뿐이었다.

핀란드가 7.741점으로 7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2~4위에 올라 북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지켰다. 이어 이스라엘 네덜란드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스위스 호주 순이었다. 미국과 독일은 각각 23, 24위로 2012년 보고서 발간 후 처음으로 20위권에 들지 못했다. 동아시아에선 일본이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51위, 중국이 60위였다.

러시아가 침공한 우크라이나의 행복 순위는 105위로, 러시아(72위)보다 크게 낮았다. 또 팔레스타인의 행복도는 103위였으나, 이스라엘의 행복도는 5위로 최상위권이었다. 2020년 탈레반 재집권 후 인도주의 위기를 겪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조사 국가 중 최하위였다.

이번 보고서에선 세대별 행복도도 비교했다. 일반적으로 청년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북미,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최근 젊은 세대의 행복도가 급격히 떨어져 이제는 노년층의 행복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청년층이 소셜미디어로 자존감이 낮아지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주식 및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55세 이상은 부를 누리게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고도성장 후 ‘잃어버린 30년’을 겪은 일본도 60세 이상 노년층의 행복 순위는 36위였지만 30세 미만 청년층은 73위로 크게 낮았다. 한국은 청년층(52위)보다 노년층(59위)의 행복도가 낮았지만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WHR)에 따르면 북미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젊은 층의 행복도가 노년층에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 캡처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WHR)에 따르면 북미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젊은 층의 행복도가 노년층에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 캡처


최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