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日 행정 지도 답변서에 네이버 지분 매각 언급 없을 것"

입력
2024.05.14 18:30
수정
2024.05.14 18:56
6면
구독

"日, 불리한 조치 취하면 절대 안돼"

성태윤 정책실장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라인야후 사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성태윤 정책실장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라인야후 사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대통령실이 14일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되면 일본 정부가 자본구조와 관련해 네이버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행정지도 답변서에 네이버의 지분매각 내용이 안 들어간다는 것을 파악했다"고 강조했다. 전날 "네이버를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취지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일본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는 메시지까지 내놓으면서 당장의 지분 매각 가능성에도 선을 그은 것이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에 이어 브리핑을 열고 "일본 정부도 수차례 이번 행정지도에 지분매각과 관련한 표현이 없고, 경영권 차원의 언급이 아니라고 밝혔다"며 이같이 말했다.

성 실장은 "정부는 라인야후가 일본 정부에 자본구조 변경을 제외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을 제출하고자 한다면 네이버에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제공하겠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여기에는 필요시 우리나라 관련 기관의 기술적, 행정적 자문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정부는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어떠한 차별적 조치나 기업의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면밀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에 이어 대통령실이 이례적으로 이틀 연속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공식 입장을 피력한 것은 이번 사태에 긴밀히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특히 대통령실은 이날 향후 라인야후 행정 지도 답변서에 네이버 지분매각 관련 내용이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거론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답변서에 자본구조나 지분매각에 대한 내용이 안 들어간다는 게 파악이 됐다"며 "우리 정부의 입장도 중요하고, 네이버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자본구조와 관련한 조치도 취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본 총무성은 7월 1일까지 라인야후에 행정지도 답변서를 요구했고, 업계에선 답변서에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사이의 지분 협상 결과가 담길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반일 몰이를 할 일이 아니다'라는 취지로 말한 것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간 협력 관계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현빈 기자
정준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