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여수지역 항일독립운동 인정… 명예회복 조치 권고

입력
2024.06.26 12:00
구독

여수 비밀결사 조직 이끌다 일본 경찰에 체포
기독교인·민간인 희생 사건도 진실규명 결정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한국일보 자료사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한국일보 자료사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일제강점기 '박채영의 여수지역 항일독립운동'을 인정하고, 국가에 명예회복 조치를 권고했다.

26일 진실화해위는 전날 제81차 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박채영씨는 반일 의식을 고취하는 비밀결사 조직에서 활동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돼 징역형을 선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929년 8월 여수지역 독서회에 가입한 박씨는 1930년 6월쯤 독서회 지도를 맡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과학연구회와 청년전위동맹이라는 비밀결사 조직을 이끌었다. 이들은 여수 시내에 선전지를 뿌리고 여수수산학교에 독서회를 조직해 민족 차별철폐를 요구하는 등 동맹 휴학에 관여했다. 또 1932년 7월 여수적색노동조합준비회를 조직해 해산노동부 책임자로 활동하며 여수 고무 농장과 항만운수 노동자의 동맹 파업을 주도했다. 이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된 뒤 1936년 6월 29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진실화해위는 충청지역 교회 30곳에서 기독교인 71명이 희생된 '충청지역 기독교인 희생 사건'에 대해서도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 공주·금산·논산 등 15개 지역 기독교인들은 1950년 7월부터 1951년 초까지 적대 세력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드러났다. 희생자 중 남성이 5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0세 미만의 아이와 노인도 포함됐다. 지역별로는 논산(39명), 부여(6명), 서천(6명) 등의 순으로 희생자가 나왔다.

아울러 진실화해위는 전남 영양, 경남 밀양, 전북 고창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 사건에 대해서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공식 사과,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 추모사업 지원, 역사 기록 반영, 평화인권교육 실시 등을 권고했다. 1947년 12월부터 한국전쟁 발발 이후까지 민간인 수백 명이 좌익 혐의가 있다는 이유 등으로 군경에게 희생된 사건이다.

전유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