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에 맞설 당권 주자 한 명 없는 민주당

입력
2024.06.27 00:10
27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왼쪽 여덟 번째)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치검찰 사건조작 피해사례 증언과 대책 간담회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배우자인 백정화씨(오른쪽 세 번째)를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뉴스1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왼쪽 여덟 번째)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치검찰 사건조작 피해사례 증언과 대책 간담회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배우자인 백정화씨(오른쪽 세 번째)를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뉴스1


차기 제1야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 8월 전당대회가 벌써부터 ‘친명(친이재명) 마케팅’ 일색이다. 2년 전과 비슷하지만 그 내용과 수준은 심화돼 ‘이재명 일극체제’ 굳히기나 다름없다. 이 대표가 지난 24일 사실상 연임 도전을 위해 당대표직을 사임한 뒤 최고위원들 역시 ‘친명’으로 채워질 전망이다. 낯 뜨거운 충성 경쟁이 이어지는 걸 보면 당 지도부가 친명체제 연장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준다. 최고위원에 도전하는 강선우 의원은 “이재명을 지키는 일이 민주당을 지키는 일이고, 민주당을 지키는 일이 나라를 지키는 일”이라며 “어대명이 아니라 당대명(당연히 대표는 이재명)”이라고 했다. 전현희 의원은 “(검찰 탄압에도) 힘든 내색 않고 털털 웃는 모습에 마음이 짠하다”고 했다.

친명계는 171석 거대야당 및 192석 범야권을 이끌 인물은 이 전 대표밖에 없다는 현실론을 펴고 있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당대표 사퇴시한에 예외를 담은 ‘맞춤형’ 당헌·당규 개정안을 속전속결처리한 바 있다. 이 전 대표가 당 장악력을 차기 대선 직전까지 유지할 수 있게 쐐기를 박은 것이다. 실제 당대표에 도전할 다른 당권주자 하나 없는 게 민주당의 현실이다. 2022년 8월 전당대회 당시 비명계 박용진 의원이 도전했다가 이 후보로부터 “박용진 후보도 공천 걱정하지 않는 당을 만들겠다”는 발언을 듣고도 ‘비명횡사’ 탈락했는데 누가 그런 수모를 감수하겠나. 그러다 보니 이번엔 기존 지역순회 대신 한 번으로 끝내는 ‘원샷’ 경선마저 검토할 지경이다.

’사당화’라 비판 받는 이유는 ‘사법리스크’를 막기 위해 당대표직이 필요하다는 ‘방탄’ 의도를 부인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지금 민주당에선 다른 목소리가 없어졌다. 계파가 공존해 견제하고, 다수파가 소수파를 포용해 진영 전체의 에너지가 충만한 모습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전당대회를 통해 치열한 노선투쟁으로 활력과 시너지를 얻는 민주진보 진영의 장점은 사라진 건가. 대안세력이 전무한 채 중도층과 멀어지며 한쪽으로 폭주하는 민주당이라면 불안하다. 내부 공론장이 사라진 정당민주주의 퇴행일 뿐이다.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