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일주일 만에 중단..."지속가능한 투쟁으로"

입력
2024.06.21 14:28
수정
2024.06.21 17:09
구독

전체 교수 투표서 73.6%가 "중단"

21일 오전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21일 오전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서울대 의대 산하 병원들이 24일부터 정상 진료 체계로 돌아가기로 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맞서 '전면 휴진'을 시작한 지 일주일 만의 복귀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1일 "4개 병원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한 투표 결과에 따라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비대위에 따르면, 해당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192명은 "무기한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에 대한 행정 처분 취소 △의대 정원 증원 재논의 등을 요구하며 17일부터 수술과 외래 진료를 중단해왔다. 필수 의료는 유지됐으나 진료 교수 중 54.8%가 휴진에 참여하면서 환자들은 적잖은 불편을 겪었다. 비대위는 집단 휴진 중단 배경에 대해 "현 상황이 장기화되면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비대위는 "싸움을 그만두진 않을 것이며, 긴 호흡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의 투쟁을 계속하겠다"고 전했다. 설문조사에서는 '지속 가능한 저항의 방법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복수)에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대안 제시를 꼽은 이가 709표(75.4%)로 가장 많았고,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 조정(주 40시간 등)이 616표(65.5%)로 뒤를 이었다.

전유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